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엠폭스(Mpox)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진성 감염병입니다. 이 글에서는 엠폭스의 뜻, 증상, 원인, 감염경로, 원숭이두창에 대한 정보, 그리고 예방 접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엠폭스란 무엇인가
엠폭스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주로 발열, 두통, 근육통, 림프절 부종, 피로감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후 피부에 수포와 딱지가 형성되며, 이러한 발진은 얼굴에서 시작해 전신으로 퍼집니다. 엠폭스는 천연두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그 심각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발열: 초기 증상으로 발열이 나타납니다.
- 두통 및 근육통: 발열과 함께 두통과 근육통이 동반됩니다.
- 피부 발진: 얼굴에서 시작해 전신으로 퍼지는 수포와 딱지가 형성됩니다.
엠폭스는 주로 아프리카의 중앙 및 서부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유럽과 북미에서도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엠폭스의 원인과 감염경로
엠폭스의 원인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특히, 감염된 동물의 체액이나 피부 병변과의 접촉이 주요 감염 경로입니다. 또한, 감염된 사람과의 밀접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 동물 접촉: 감염된 동물의 체액이나 피부 병변과의 접촉.
- 사람 간 접촉: 감염된 사람과의 밀접 접촉.
- 오염된 물질: 감염된 동물이나 사람의 체액이 묻은 물질과의 접촉.
엠폭스는 주로 야생동물 고기를 다루거나, 감염된 동물에게 물리거나 할퀴어질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사람과의 밀접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원숭이두창에 대한 정보와 예방 접종
원숭이두창은 1958년 실험실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첫 인체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는 천연두 바이러스와 유사하지만, 그 전염성과 치명률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예방 접종: 엠폭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 접종이 중요합니다. 3세대 두창 백신은 엠폭스와 천연두 모두에 대해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 백신 접종 대상: 주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이 권장됩니다.
- 접종 방법: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예방 접종 외에도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고,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엠폭스의 증상
엠폭스의 증상은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합니다.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피로, 근육통 및 요통, 두통 등이 나타나며, 보통 1~4일 후에 발진이 나타납니다. 발진은 얼굴, 입, 손, 발, 가슴, 항문 생식기 근처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통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원숭이두창과 엠폭스의 차이점
원숭이두창과 엠폭스는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지만, 엠폭스는 원숭이두창의 변종으로, 증상이 더 경미하고 치명률이 낮습니다. 원숭이두창은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며, 치명률이 10%에 달할 수 있지만, 엠폭스는 치명률이 1%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방 접종을 받지 않으면 어떤 위험이 있나요?
예방 접종을 받지 않으면 엠폭스에 감염될 위험이 높아지며, 특히 면역력이 약한 고위험군에서는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출혈, 패혈증, 뇌염, 융합된 병변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나 뇌염, 눈 감염이 일어날 경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결론
엠폭스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진성 감염병으로, 주로 발열, 두통, 근육통, 림프절 부종,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감염된 동물이나 사람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예방 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엠폭스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예방 수칙을 숙지하여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 초기증상 통증 치료기간 후유증 예방법 (0) | 2024.08.19 |
---|---|
치매 초기증상 8가지 및 단계별 증상 (0) | 2024.08.19 |
코로나 격리 의무 기간 해제 회사 출근 가능 등교 백신 (0) | 2024.08.17 |
24시간 약국 조회 찾기 휴일지킴이 약국 연중무휴 약국 찾는 방법 (0) | 2024.08.16 |
당화혈색소 정상치 수치표 검사방법 당뇨병 합병증 낮추는 법 (+ 좋은 음식) (0) | 202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