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홍동백서 좌포우혜 어동육서

by 무병장수 건강 지킴이 2024. 8. 19.
반응형

추석

추석은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로, 가족들이 모여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날입니다. 이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차례상입니다. 차례상을 차릴 때는 몇 가지 중요한 규칙이 있는데, 이를 잘 지키면 더욱 정성스러운 차례상을 차릴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홍동백서, 어동육서, 좌포우혜와 같은 전통적인 차례상 차리는 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기본 원칙 

차례상 차리는 기본 원칙 

차례상을 차릴 때는 기본적으로 5열로 나누어 음식을 배치합니다. 각 열마다 놓는 음식의 종류와 위치가 정해져 있어 이를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첫 번째 열: 밥, 국, 술잔 등을 놓습니다.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놓는 '반서갱동' 원칙을 따릅니다.
  • 두 번째 열: 고기와 생선을 놓습니다. 이때 '어동육서' 원칙에 따라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습니다.
  • 세 번째 열: 탕류를 놓습니다. 고기탕, 생선탕, 두부탕 등의 순서로 배치합니다.
  • 네 번째 열: 포와 나물, 식혜 등을 놓습니다. '좌포우혜' 원칙에 따라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놓습니다.
  • 다섯 번째 열: 과일과 과자를 놓습니다. '홍동백서' 원칙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홍동백서

홍동백서

홍동백서는 차례상에서 과일을 배치할 때 사용하는 원칙입니다. 붉은색 과일은 동쪽에,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상님께 드리는 음식이므로 색상과 위치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 붉은 과일: 대추, 사과, 감 등
  • 흰 과일: 배, 밤 등

이 원칙을 지키면 차례상이 더욱 정갈하고 아름다워 보입니다. 또한, 과일은 홀수로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대추는 3개, 배는 5개 등으로 놓습니다.

 

 

 

 

어동육서

어동육서

어동육서는 생선과 고기를 배치할 때 사용하는 원칙입니다.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상님께 드리는 음식이므로 신경을 써서 배치해야 합니다.

  • 생선: 동쪽에 놓고, 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합니다.
  • 고기: 서쪽에 놓고, 고기류는 적절히 구워서 올립니다.

이 원칙을 지키면 차례상이 더욱 정갈하고 조화롭게 보입니다. 또한, 생선은 머리와 꼬리를 모두 올리는 것이 좋습니다.

좌포우혜

좌포우혜

좌포우혜는 포와 식혜를 배치할 때 사용하는 원칙입니다. 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상님께 드리는 음식이므로 신경을 써서 배치해야 합니다.

  • : 북어포, 대구포 등
  • 식혜: 달콤한 식혜를 오른쪽에 놓습니다.

이 원칙을 지키면 차례상이 더욱 정갈하고 조화롭게 보입니다. 또한, 포와 식혜는 각각의 맛과 향을 잘 살려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은 전통적인 원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홍동백서, 어동육서, 좌포우혜와 같은 원칙을 따르면 차례상이 더욱 정갈하고 아름다워집니다. 조상님께 드리는 마음을 담아 정성껏 차례상을 차려보세요. 가족들과 함께하는 풍성한 추석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